
안녕하세요 오늘은 2022년 많은 개편이 있었던 출산 후 혜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께요! 임신과 출산 준비로 몸과 마음도 바쁜데 이 피드로 한번에 정리하고 관련된 혜택 받아가세요!
1. 첫 만남 이용권 (200만원 바우처)
태어나는 모든 아이에게 200만원의 바우처(일시금)으로 지급해줍니다. 바우처 지급은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금을 받았을 때 발급 받았던 "국민행복 카드 바우처"로 지급됩니다. (출생일로부터 1년간 사용 가능) 사용처는 모든 업종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산후조리원, 육아용품 마트 등)
2. 영아수당 (월 30만원 현금 지급)
"가정보육아동에게 월 30만 원을 현금으로 지급" 출생일 후 24개월동안 지급됩니다. (단, 어린이집이나 종일제 아이돌봄 서비스 등 정부 지원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아야 됩니다) 영아수당은 양육수당에서 추가된 보조금인데, 25년까지 단계적으로 인상해서 최대 50만 원까지 확대된다고 해요.
3. 양육수당 (월 10만원 현금 지급)
"가정보육아동에게 월 10만원을 현금으로 지급" 24개월~초등학교 입학 전까지 지급됩니다. (단,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을 다니지 않는 경우 지급됨)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을 다니게 되는 경우에 영아수당이나 양육수당 대신 보육료를 지원받을 수 있는데 보육료 전환을 꼭 해주셔야해요. (단, 국가 운영기관이 아닌 놀이학교나 영어유치원과 같은 학원 개념의 시설은 계속 양육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4. 아동수당 (월 10만원 지급)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을 다니던 안 다니던 월 10만 원을 현금 지급" 출생후 만 8세 미만까지 지급이 됩니다. (2022년에 만 7에서 만 8세로 확대되었음) 이 수당들은 소득 수준 관계없이 받을 수 있습니다.
5.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사업 (산후도우미 지원)
"가정 방문 서비스 바우처를 제공" 출산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고, 출산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중위소득 150%까지 확대해서 지원해주는 제도예요. 출산 가정에 건강관리사를 파견하여 산모의 산후 회복과 신생아의 양육을 지원하여 주는 제도입니다.
이 서비스는 모든 출산 가정에 지원 가능하지만, 정부 지원금은 차등 지급 (태아 유형, 소득 수준 등을 고려)이 되기 때문에, 지역 내 보건소로 문의를 해서 확인해보시는 걸 추천드려요. 신청은 출산 예정일 40일 전부터 출산 후 30일까지 신청 가능하고, 바우처 서비스 유효 기간은 출산일로부터 60일 이내입니다.
6. 출산 가구 전기료 경감 (월 전기요금 30% 할인)
"출생일로부터 3년까지 월 전기요금 30% 할인" 신청방법은 한전고객센터 전화하거나 인터넷으로 신청하면 됩니다. 아파트에 거주 중인 분들은 신청 후에, 관리사무실로 전화하셔서 출산 가정 할인 신청 유무를 알려주셔야 해요. (이사 가면 재신청 진행해야합니다.)
7. 저소득층 기저귀 조제분유 지원 (바우처 포인트 지급)
"영유아 1인당 기저귀와 분유 구매 비용을 국민 행복 카드에 바우처 포인트로 지원" 이는 소득 조건이나 선정 기준에 적합한 경우 해 줍니다. ( 기저귀(64,000원) 및 조제분유(84,000원)지원) 신청은 주민센터에서 신청가능하세요. 기준은 아래 링크로 들어가보시면 확인 가능합니다. https://www.socialservice.or.kr:444/user/htmlEditor/view2.do?p_sn=39
8. 육아휴직제 3+3 (육아휴직 종료일까지 통상임금의 80%)
부모가 동시에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22년 1월부터 생후 12개월 이내에 자녀),첫 3개월에 대해서 부모 각각 육아휴직 급여액을 상향해서 지급해줍니다. 만약 부모 중 한 분만 육아휴직 시에 육아휴직 종료일까지 "통상임금의 80%를 육아휴직 급여액"으로 지급해 줍니다.
하지만, 실지급은 육아휴직 급여액에서 25%가 제외한 금액이 들어오게되는데, 최대 150만원이 들어오게 되는 것이 아니라, 15%가 제외된 112만 5천 원씩 입금되고, 남은 금액은 누적되어 복직 6개월 뒤에 합산해서 일시불로 지급해 줍니다.
9. 신생아 난청 검사, 선천성 대사이상 검사 무료
건강보험 적용 (18년 10월부터 개정)으로 병원 입원 기간 동안(분만 후 퇴원 전) "선별 검사 시행 시 무료로 검사" 받을 수 있습니다.
10. 다자녀 혜택 (다자녀 기준 3명에서 2명)
아이돌봄 서비스 지원 / 다자녀 우대카드 발급 / ktx srt 운임 할인 / 어린이집 우선 입소 / 다자녀 의료비 지원 확대 / 다자녀 세액공제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도시가스나 지역 난방비 할인 제외)
'돈이되고 살이되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 청년 보조금 총정리!!!! (1) | 2022.08.26 |
---|---|
2022년 출산 지원금 (지자체편) (0) | 2022.08.19 |
2022년 임산부 혜택 7가지 총정리!! (0) | 2022.08.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