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신하면 나라에서 주는 많은 혜택들이 있어요! 현명한 맘들 놓치지 말고 알뜰살뜰히 혜택 챙겨가시길 바래요
1.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금 (단태아 : 100만원, 다태아 : 140만원 지급)
.지급 방법 : 국민행복 카드 바우처로 지급
Step 1. 국민 행복 카드 발급
발급 조건 : 국민건강보험 공단에 임신부 등록 필요
- 임신확인서 발급날에 병원에서 등록해주기도 함
- 직접 국민건강보험 공단에 등록 (임신확인서 지참)
Step 2. 어떤 카드사로 발급받을지 결정
전화, 은행방문, 인터넷 신청 -> 원하는 카드사, 은행으로 카드 발급 -> 카드사에 바우처 신청(카드사별 혜택, 가입 선물 유/무 상이해서 확인 후에 선택하세요!)
사용 범위 : 임산부와 2세미만 영유아의 모든 진료비, 약재 치료 재료 구입비 사용
사용 기간 : 등록 ~ 출산일 이후 2년까지 사용 가능
(기간내 사용하지 못한 바우처 전액은 자동 소멸)
Checkpoint!
현금 100만원을 지원해주는 것이 아니라, 국민행복카드 바우처로 지급해주고 사용시 차감되는 방식이예요 (코로나 재난지원금과 사용방식 동일) 사용 시, 사용 금액과 남은 금액이 문자로 발송됩니다
2. 지역내 보건소에 임산부 등록 (주민등록등본 거주지 기준)
.구비 서류 : 임신확인서 또는 산모수첩, 신분증, 주민등록등본 등 지침 (각 보건소마다 구비서류 상이할 수 있으니 방문 전 전화로 문의해주세요!)
.보건소 혜택
1. 임신 초기 검사 진행
- 풍진항체검사 / 소변검사 / 혈액 검사 가능
- 병원에서도 진행 가능하지만, 보건소가 더 저렴
- 병원에서 추가 검진 필요시, 진행한 검사를 제외하고 진행
2. 엽산 & 철분제 제공
엽산 : ~12주전까지 제공 / 철분제 : 6주~분만전까지 제공 (최대 5개월분까지 제공)
3. 임신부 뱃지와 임신부 주차증 제공 (대부분의 보건소 제공)
4. 이외에 지역별 제공되는 임신 축하선물, 인신부 혜택 등은 차이가 있습니다. 지역 보건소 홈페이지 검색 혹인 전화로 문의 필수!
ex) 임신초기검사 외 추가 검사, 기형아검사 쿠폰 지급, 축하선물(베넷 저고리, 내복, 크림 등), 이사 축하금 지급지역 등
Checkpoint!
보건소 방문이 어렵다면? 정부 24 사이트를 통해 "엽산"과 "철분제" 신청 가능

3. KTX, SRT 할인 서비스
1) 맘편한 KTX 서비스
.서비스 혜택 : 임신부와 동반 1인까지 특실좌석을 일반실 좌석으로 이용 가능
.사용 기간 : 신청 후 ~ 출신예정일 1년까지
.신청 방법 : 정부 24 홈페이지에서 신청 or 역 창구에서 등록 (임신확인서, 신분증 제시)
정부 24 홈페이지 -> 맘편한 임신 검색 -> 맘편한 임신 서비스 지원 -> 맘편한 임신 온라인 통합처리 신청
2) SRT 할인 서비스
.서비스 혜택 : 인신부와 동반 1인까지 성인운임의 30% 할인 이용 가능
.사용 기간 : 신청 후 ~ 출신예정일 1년까지
.신청 방법 : SRT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 및 임신부 등록
4. 단축 근무제 (임신 초기 & 후기)
.일반 기업 경우, 임신 초기 12주 이내, 임신 후기 36주 이후, 1일 2시간 근로시간 단축 가능
.하루 소정 시간을 유지하면서 (사업주와 계약) 업무의 시작과 종료 시간을 변경 신청 가능
.시간 외 근무 금지 및 휴일/야간 근무 제한
Checkpoint!
임산부 정기건강진단을 받는데 필요한 시간을 유급으로 청구 가능 (태아검진시간)
5. 자동차보험료 할인 (자녀할인 특약)
.태아 또는 만 6세 이하의 아이가 있다면 자녀할인 특약으로 자동차보험료 할인 가능
.보험사 마다 적용 기준이 다를 수 있으니, 보험사로 문의 후 진행하세요
6 친환경농산물 지원사업 (친환경 꾸러미)
.지원범위 : 임신부 및 2022년 1월 1일 이후 출산한 산모에게 친환경 농산물을 꾸러미 형태로 월 1회 이상 지원
.부담금 : 자부담 20% (9만 6천원), 지원금 80% (38만 4천원)
.유기농 농수산물, 가공식품, 고기 등을 선택 가능
.2022년 12월 15일까지 주문 가능 (선착순 마감)
.신청 방법 : 온라인 신청 혹은 주민센터에서 필요서류 지참 후 신청 가능
7. 외래진료비 본인부담금 20% 감면혜택
.현재 임신중인 경우, 국민건강보험이 적용되는 모든 병원 진료시 감면 혜택 (임신확인서 혹은 산모수첨 지참)
(상급종합병원(본인부담률 40%), 종합병원(본인부담률 40%), 병원(본인부담률 20%), 의원(본인부담률 10%)
.감면 혜택 제외 대상 : 비급여 항목, 입원, 약국 이용은 해당사항 없음
'돈이되고 살이되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 청년 보조금 총정리!!!! (1) | 2022.08.26 |
---|---|
2022년 출산 지원금 (지자체편) (0) | 2022.08.19 |
2022년 출산 지원금 10가지 총정리!! (정부 지원편) (0) | 2022.08.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