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우리 반려묘가 이런 행동을 한다면? 고양이 행동언어 10가지!! - 2편

by hooah 2024. 7. 27.
반응형

 

 

안녕하세요.

지난 글에 이어

사랑하는 반려묘가

평소에 하는 행동들의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고

나아가 어떻게 교육을 해나갈지에 대해서

이어서 설명드릴께요!

 

 

지난 글에서 말씀드렸듯이,

고양이는 독립적이고, 자존감이 강한 동물이라

고양이의 행동을 이해하고 그에 따른 올바른 반응으로

반려묘의 행동을 교육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행복한 반려 생활의

기초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해요.

 

행동언어 6 - 눈 깜빡임

 

반려묘가 천천히 눈을 깜빡이는 행동을

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이러한 반려묘의 행동은

'신뢰와 애정'을 나타내는데요.

반려묘가 있는 지금의 환경과 상황이

편안하다고 느낄 때 나타나는 행동으로,

주인에게 사랑의 표시로 해석할 수 있어요

 

이런 행동언어를 보내는 반려묘에게

'반려묘를 따라 천천히 눈을 깜빡여 보세요'

반려묘의 같은 반응을 보여줌으로써

긍정적인 행동언어를 주인이 함께해주고,

이를 통해서 안정감을 더해주고,

서로의 유대감을 강화시켜주시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아마, 이 행동언어를 잘 사용해주시면,

반려묘와의 관계를 더 깊게

만들어 줄 수 있을 거예요.

 

행동언어 7 - 발로 밀기

 

반려묘가 이따금씩

물건을 발로 밀거나 잡아당기는 행동을 하는데요.

이것은 바로

'호기심을 표현' 하는 것입니다.

이 행동언어는

보통 반려묘가 주변 환경을

탐색하고 싶어할 때 나타나느데요.

 

이런 행동언어를 하고 있는 반려묘에게는

'이 행동을 방관해주세요'

방관은 때론, 지금하고 있는 행동을

'존중'해 준다고 전달이 될 수 있거든요.

 

이러한 행동은 반려묘의 지극히 평범한

본능적인 행동이고, 건강한 정신적 자극이 될 거예요.

물론,

위험한 물건을 밀어내려 한다면,

주의 깊게 관찰하시고, 안전한 장난감으로

교체해주세요

 

행동언어 8 - 머리 부비기

 

반려묘가 사람이나 다른 고앙이에게

자신의 머리를 부비는 것은

'친밀함을 나타내는 행동'

이예요

 

이 때 주인은

반려묘가 머리를 부비는 순간을

놓치지 말고,

'부드럽게 쓰다듬어 주세요'

 

이런 행동을 통해서,

반려묘에게 애정과 신뢰를

표현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이니깐요.

 

반려묘가 머리를 부비는 행동은

서로의 유대감을 강화하는 데

좋은 역할을 하는 행동언어이기에

자주 애정 표현을 해주는 것이 좋아요.

 

행동언어 9 - 숨기

 

너무 자주 보시는 집사님들도 있겠지만,

아홉번째 행동언어는 '숨기'입니다

이 '숨기'는 반려뵤가 안전을 추구하는

본능적인 행동인데요.

주로, 반려묘가

스트레스를 느끼거나 불안할 때

자신의 공간에서 숨는 것을 선호가기 때문에

나오는 행동인데요.

 

이를 위해서,

주인분들꼐서는

반려묘가 불안과 스트레스로부터

도망칠 수 있는 숨을 수 있는 공간을 존중하고,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숨을 수 있는 조용한 공간을 

마련해주시는걸 추천드려요.

 

안전하고 아늑한 숨을 수 있는 공간을 통해서

반려묘가 더 편안하게 느낄 수 있을 거예요.

 

그리고,

반려묘가 자주 숨기를 하는 경우에는

환경을 점검하시고.

스트레스의 요인이 무엇인지

확인해보신느게 중요하답니다.

 

행동언어 10 - 신체를 햩기

 

기본적으로 반려묘가 자신의 몸을 햝는 행동은

'청결을 유지하기 위한 행동'입니다.

하지만, 과도하게 햝는 경우가 있는데요.

그건 스트레스나 불안의 신호일 수 있어요.

 

그래서 주인분들께서는

반려묘의 햝는 행동을 관찰하고,

지나치게 햝는 경우에는

환경을 점검해볼 필요가 있으세요.

 

일단 스트레스 요인이 될 수 있는 것들을 확인하고,

그런 부분을 제거해주시고,

반려묘가 편안하게 느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세요.

필요할 경우에는 수의사와

상담하여 조치를 취해야할 수도 있어요.

 

 

이렇게 1편,2편에 나눠서 반려묘의 행동언어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반려묘의 행동에 긍정적인 혹은 부정적인 감정을 인지하시고.

그에 따른 리액션이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모두들 건강한 집사생활 되시길 바래요.

 

 

2024.07.25 - [반려동물 정보] - 우리 반려묘가 이런 행동을 한다면? 고양이 행동언어 10가지!! - 1편

반응형

댓글